산후의 생리 이상, 일반 생리 불순, 부인의 보건약으로 특히 유명하다.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육모초라고도 불리운다.
가지가 갈라지고 줄기 단면은 둔한 사각형이며 흰 털이 나서 흰빛을 띤 녹색으로 보인다.
잎은 마주나는데,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원형이며 둔하게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갈라진다.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 이뇨, 진정, 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혈액 순환 개선제이다. 월경을 조절하고 혈독(血毒)을 해소시키므로 주로 여성에게 쓰인다.
일종의 자궁 흥분제로서 자궁근의 수축과 긴장을 현저히 늘려 주는 작용이 있어 여성의 생식 기능 저하로 인한 불임증에 많이 쓰인다.
성분은 결정성 알칼로이드인 레오눌린 A 및 B, 피트스테린, 레오눌리진, 수지 등이다.
★ 재료
익모초 150g, 소주 1000㎖, 설탕 100g,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썬 익모초를 용기에 담고 20도 짜리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 액은 다시 용기에 담고 설탕, 과당을 넣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한 다음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나머지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갈색의 약간 씁쓸한 맛이 일품인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육모초라고도 불리운다.
가지가 갈라지고 줄기 단면은 둔한 사각형이며 흰 털이 나서 흰빛을 띤 녹색으로 보인다.
잎은 마주나는데,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원형이며 둔하게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갈라진다.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 이뇨, 진정, 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혈액 순환 개선제이다. 월경을 조절하고 혈독(血毒)을 해소시키므로 주로 여성에게 쓰인다.
일종의 자궁 흥분제로서 자궁근의 수축과 긴장을 현저히 늘려 주는 작용이 있어 여성의 생식 기능 저하로 인한 불임증에 많이 쓰인다.
성분은 결정성 알칼로이드인 레오눌린 A 및 B, 피트스테린, 레오눌리진, 수지 등이다.
★ 재료
익모초 150g, 소주 1000㎖, 설탕 100g,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썬 익모초를 용기에 담고 20도 짜리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 액은 다시 용기에 담고 설탕, 과당을 넣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한 다음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나머지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갈색의 약간 씁쓸한 맛이 일품인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