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의편,근학편 23. 廉義篇 염치(廉恥 : 결백하고 정직하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와 의리(義理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도리)에 관한 이야기들 印觀賣綿於市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 有鳶攫其綿 墮印觀家 인관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확기면 타인관가 印觀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 故 還汝.. 명심보감 2011.06.01
팔반가 팔수, 속 효행편 21. 八反歌 八首 부모 모시기와 자식 기르기 사이에서 갖는 여덟 가지 상반된 마음을 노래 幼兒或我 我心覺喜 父母嗔怒我 我心反不甘 유아혹리아 아심각환희 부모진노아 아심반불감 一喜一不甘 待兒待父心何懸 일환희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勸君今日逢親怒 也應將親作兒看 권군금일봉친노 야응장.. 명심보감 2011.06.01
부행편,증보편 19. 婦行篇 현대에 있어 현모양처(賢母良妻)와 부덕(婦德)의 의미는?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 익지서운 여유사덕지예 一曰婦德 二曰婦容 三曰婦言 四曰婦工也 일왈부덕 이왈부용 삼왈부언 사왈부공야 ☞ <익지서>에 이르기를, "여자는 네 가지 칭찬받을 덕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婦德)을 말하고, .. 명심보감 2011.06.01
언어편, 교우편 17. 言語篇 술은 나를 알아주는 친구를 만나면 천 잔도 적고, 말은 기회가 맞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다. 劉會曰 言不中理 不如不言 유회왈 언부중리 불여불언 ☞ 유회가 말하기를,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 ▷ 유회(?) ▷ 中 : 맞을 중 ▷ 不如 = 不若 : ~만 같지 못하다, ~만 못하.. 명심보감 2011.06.01
안의편, 존례편 15. 安義篇 현명한 이는 가족을 사랑하고 어리석은 이는 가족을 멀리한다. 顔氏家訓曰 夫有人民而後有夫婦 有夫婦而後有父子 안씨가훈왈 부유인민이후유부부 유부부이후유부자 有父子而後有兄弟 一家之親 此三者而已矣 유부자이후유형제 일가지친 차삼자이이의 自玆以往 至于九族 皆本於三親焉 .. 명심보감 2011.06.01
입교편,치정편, 치가편 12. 立敎篇 배움의 뜻을 바로 세워(立敎) 세상에 몸을 세운다(立身).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 喪祀有禮而哀爲本 자왈 입신유의이효위본 상사유례이애위본 戰陣有列而勇爲本 治政有理而農爲本 전진유열이용위본 치정유리이농위본 居國有道而嗣爲本 生財有時而力爲本 거국유도이사위본 생재유시이력.. 명심보감 2011.06.01
훈자편,성심편 10. 訓子篇 자식에게 천금을 주기보다는 한 가지 재주를 가르치는 것이 낫다. 景行錄云 賓客不來 門戶俗 詩書無敎 子孫愚 경행록운 빈객불래 문호속 시서무교 자손우 ☞ <경행록>에 이르기를, "손님이 찾아오지 않으면 집안이 저속(低俗 또는 비속(卑俗))해지고, 시서(詩書 : 詩經과 書經)를 가르치.. 명심보감 2011.06.01
계성편,근학편 8. 戒性篇 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피하고, 참고 또 참으면 불행도 피해간다. 景行錄云 人性如水 水一傾則不可復 性一縱則不可反 경행록운 인성여수 수일경즉불가복 성일종즉불가반 制水者必以堤防 制性者必以禮法 제수자필이제방 제성자필이예법 .. 명심보감 2011.06.01
정기편,안분편,존심편 5. 正己篇 맑은 마음과 바른 몸가짐을 가지는 수신(修身)에 도움이 되는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性理書云 見人之善而尋己之善 성리서운 견인지선이심기지선 見人之惡而尋己之惡 如此方是有益 견인지악이심기지악 여차방시유익 ☞ <성리서>에 이르기를, "남의 착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착함을 .. 명심보감 2011.06.01
순명, 효행편 3. 順命篇 하늘의 이치, 자연의 이치를 거스리지 않고 자신의 본분과 분수에 맞는 생활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 子曰 死生有命 富貴在天 자왈 사생유명 부귀재천 ☞ 공자가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은 천명(天命)에 있고, 부귀(富貴)는 하늘에 달려 있다." ▷ 命 : ①목숨→生命 ②운명 · 운수→運命.. 명심보감 2011.06.01